[rank_math_breadcrumb]

자동차 급발진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 급발진,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요즘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자동차 사고 중의 하나가 바로 자동차 급발진 사고입니다. 운전을 하다가 갑자기 차량이 급발진 하게 되면 배테랑 운전자라도 당황하기 마련인데 오늘은 이러한 급발진 시 대처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1.자동차 급발진이란?

자동차 급발진은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차의 RPM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고 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급발진은 전자 제어장치의 오류로 차량이 오작동하는 것인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급발진 사고가 제조사의 과실로 인정된 사례가 없습니다.

 

2.자동차 급발진 시 대처방법

급발진은 가속이 더 일어나기 전에 빠르게 대처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시동 끄기 – 주행 중 급발진 조짐이 보이면 기어를 중립(N)에 놓고 시동을 꺼야합니다.
    – 스마트키가 적용된 차량이면 시동버튼을 3초 이상 꾹 눌러 시동을 끕니다.
    – 시동키라면 ACC ON 상태로 돌려 시동을 끕니다. 차 키를 강제로 뽑으면 핸들이 잠기므로 주의!
  • 브레이크 한번에 세게 밟기
    – 급발진이 시작되면 가장 먼저 브레이크를 밟아야 합니다. 이때 평상 시처럼 브레이크를 나눠서 밟는것이 아니고, 온 힘을 다해 두 발로 체중을 실어 세게 밟아야 합니다.
    – 급가속 상태에선 브레이크 페달이 평소의 10%만 들어갈 정도로 굳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이 부서질 정도로 강하게 밟아주는게 중요합니다.
  • 기어 중립 동력 차단
    – 기어를 중립(N)으로 바꿔 동력을 차단해야 합니다. 이때 기어를 P에 두면 안되는데 P로 놓으면 핸들마저 잠겨 더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 사이드 브레이크 잠그기 
    –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글 때 기억해야 하는 것은 풋브레이크 처럼 한번에 세게 밟는것이 아니라 천천히 여러번 나눠서 잠그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번에 잠글 경우 뒷 바퀴가 잠겨 자동차가 회전하여 전복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그래도 속도가 줄지 않는다면
    – 주변 가드레일, 벽 등 튼튼한 곳에 차량의 측면을 갖다대어 물리적인 충격을 주면서 감속을 시도해야 합니다. 꼭 측면을 부딪쳐서 감속을 해야 2차 충격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이상, 자동차 급발진 시 대처요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자의 침착성입니다. 흥분하면 대처방법이 생각 나지 않을 수 있으니 항상 나에게도 급발진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안전운행 하시기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